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G1 클라이맥스 29

덤프버전 :

파일:G1 29 로고.jpg
대회명G1 클라이맥스 29
G1 Climax 29
주최신일본 프로레슬링
New Japan Pro Wrestling
스폰서HEIWA
중계파일:신일본 월드2.png[1]파일:테레비 아사히 로고.svg[2] 파일:사무라이 tv.png[3]
일시2019년 7월 6일 ~ 8월 12일
장소파일:일본 국기.svg 도쿄, 홋카이도, 히로시마, 아이치, 후쿠오카,카가와, 시즈오카, 오사카 등
파일:미국 국기.svg 텍사스
공식 홈페이지
G1 클라이맥스 28G1 클라이맥스 29G1 클라이맥스 30

공식 테마곡
LOW IQ 01 - Shine

1. 개요
2. 대회 방식
3. 참가 선수
3.1. A조
3.2. B조
4. 주요 개최지 및 대진표
5. 순위
5.1. A조
5.2. B조
6. 결승전


1. 개요[편집]


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29번째로 개최하는 G1 클라이맥스 대회이며 7월 6일부터 8월 12일까지 열린다. 이 토너먼트에서 우승을 하는 선수는 레슬킹덤 14에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 도전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진다.[4]

G1 최초로 개막전이 미국 텍사스에서 열린다. 그리고 작년과 마찬가지로 각 조별 리그 마지막 경기와 결승전 경기가 일본 무도관에서 열린다
G1 클라이맥스 29 후일담 다큐 Vanishing point


2. 대회 방식[편집]


20명의 선수가 각각 A조와 B조에 10명씩 배정되어 조별 풀리그 형식으로 대결을 펼치며 경기당 승리를 하게 되면 승점 2점을, 시간 제한[5] 등으로 무승부를 기록하게 될 경우 양 선수가 승점 1점씩을 나눠가진다. 이런 식으로 모든 경기를 끝냈을 때 각 조의 1등을 차지한 선수[6]가 시간 무제한 결승전을 가져, 승리한 선수가 최종 우승자가 된다.


3. 참가 선수[편집]


출장 선수 및 조 편성 공개 영상


3.1. A조[편집]




3.2. B조[편집]


  • 나이토 테츠야 (신일본/로스 인고베르나블레스 데 하폰)
  • 이시이 토모히로 (신일본/CHAOS)
  • 쥬스 로빈슨 (신일본/정규군)
  • 야노 토루 (신일본/CHAOS)
  • 고토 히로오키 (신일본/CHAOS)
  • 제이 화이트 (신일본/불릿 클럽)
  • 제프 콥 (ROH)
  • 타카기 신고 (Free/로스 인고베르나블레스 데 하폰)
  • 타이치 (신일본/스즈키군)
  • 존 목슬리 (AEW)[7]


4. 주요 개최지 및 대진표[편집]


일시장소관중수대진표
7월 6일미국 텍사스 주 댈러스
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
4,846A조윌 오스프레이 vs. 랜스 아처
EVIL vs. 배드 럭 파레
SANADA vs. 잭 세이버 주니어
이부시 코타 vs. KENTA
오카다 카즈치카 vs. 타나하시 히로시
7월 13일도쿄 오타구 종합 체육관4,074B조쥬스 로빈슨 vs. 타카기 신고
존 목슬리 vs. 타이치
야노 토루 vs. 나이토 테츠야
이시이 토모히로 vs. 제프 콥
고토 히로오키 vs. 제이 화이트
7월 14일4,074A조랜스 아처 vs. 배드 럭 파레
윌 오스프레이 vs. SANADA
오카다 카즈치카 vs. 잭 세이버 주니어
이부시 코타 vs. EVIL
타나하시 히로시 vs. KENTA
7월 15일홋카이도 도립 종합 체육센터6,946B조야노 토루 vs. 타카기 신고
쥬스 로빈슨 vs. 고토 히로오키
제프 콥 vs. 존 목슬리
이시이 토모히로 vs. 제이 화이트
나이토 테츠야 vs. 타이치
7월 18일도쿄 고라쿠엔 홀1,726A조KENTA vs. 랜스 아처
EVIL vs. SANADA
오카다 카즈치카 vs. 배드 럭 파레
타나하시 히로시 vs. 잭 세이버 주니어
이부시 코타 vs. 윌 오스프레이[A]
7월 19일1,725B조타카기 신고 vs. 타이치
쥬스 로빈슨 vs. 제프 콥
야노 토루 vs. 제이 화이트
고토 히로오키 vs. 나이토 테츠야
이시이 토모히로 vs. 존 목슬리[A]
7월 20일1,725A조잭 세이버 주니어 vs. 배드 럭 파레
타나하시 히로시 vs. 랜스 아처
KENTA vs. EVIL
이부시 코타 vs. SANADA
오카다 카즈치카 vs. 윌 오스프레이[C]
7월 24일히로시마 선플라자 홀3,481B조쥬스 로빈슨 vs. 야노 토루
고토 히로오키 vs. 타이치
존 목슬리 vs. 타카기 신고
제프 콥 vs. 제이 화이트
이시이 토모히로 vs. 나이토 테츠야
7월 27일아이치 아이치현 체육관6,142A조이부시 코타 vs. 랜스 아처
윌 오스프레이 vs. 배드 럭 파레
EVIL vs. 잭 세이버 주니어
타나하시 히로시 vs. SANADA
오카다 카즈치카 vs. KENTA
7월 28일5,278B조고토 히로오키 vs. 야노 토루
쥬스 로빈슨 vs. 이시이 토모히로
제프 콥 vs. 타이치
타카기 신고 vs. 제이 화이트
나이토 테츠야 vs. 존 목슬리
7월 30일가가와 타카마츠시 종합 체육관 제1경기장2,820A조이부시 코타 vs. 배드 럭 파레
윌 오스프레이 vs. 잭 세이버 주니어
오카다 카즈치카 vs. 랜스 아처
KENTA vs. SANADA
타나하시 히로시 vs. EVIL
8월 1일후쿠오카 시민 체육관3,758B조제프 콥 vs. 타카기 신고
야노 토루 vs. 존 목슬리
쥬스 로빈슨 vs. 나이토 테츠야
타이치 vs. 제이 화이트
이시이 토모히로 vs. 고토 히로오키
8월 3일오사카부 국립 체육관
(에디온 아레나 오사카)
5,555A조KENTA vs. 배드 럭 파레
잭 세이버 주니어 vs. 랜스 아처
윌 오스프레이 vs. EVIL
타나하시 히로시 vs. 이부시 코타
오카다 카즈치카 vs. SANADA[A]
8월 4일5,555B조이시이 토모히로 vs. 야노 토루
쥬스 로빈슨 vs. 타이치
고토 히로오키 vs. 제프 콥
존 목슬리 vs. 제이 화이트
나이토 테츠야 vs. 타카기 신고[A]
8월 7일시즈오카 하마마츠 문화체육관3,030A조SANADA vs. 랜스 아처
타나하시 히로시 vs. 배드 럭 파레
윌 오스프레이 vs. KENTA
이부시 코타 vs. 잭 세이버 주니어
오카다 카즈치카 vs. EVIL
8월 8일카나가와 요코하마 문화 체육관4,983B조야노 토루 vs. 타이치
제프 콥 vs. 나이토 테츠야
고토 히로오키 vs. 존 목슬리
쥬스 로빈슨 vs. 제이 화이트
이시이 토모히로 vs. 타카기 신고[B]
8월 10일도쿄 일본무도관9,641A조EVIL vs. 랜스 아처
SANADA vs. 배드 럭 파레
KENTA vs. 잭 세이버 주니어
타나하시 히로시 vs. 윌 오스프레이
오카다 카즈치카 vs. 이부시 코타[A]
8월 11일9,821B조야노 토루 vs. 제프 콥
이시이 토모히로 vs. 타이치
쥬스 로빈슨 vs. 존 목슬리
고토 히로오키 vs. 타카기 신고
나이토 테츠야 vs. 제이 화이트
8월 12일12,014결승전이부시 코타 vs. 제이 화이트[B]


5. 순위[편집]


아래 상황판의 가로 열에는 본선수를, 세로 열에는 상대 선수를 기입한다.
본선수가 상대 선수를 상대로 승리 하였을 경우에는 O, 패배 하였을 경우에는 X 표시를 하고 무승부를 기록할 경우 △로 표시한다.


5.1. A조[편집]


순위선수승점
1이부시 코타[8]14
2오카다 카즈치카14
3EVIL8
3KENTA8
3타나하시 히로시8
3SANADA8
3잭 세이버 주니어8
3윌 오스프레이8
3배드 럭 파레8
10랜스 아처6

A조타나하시이부시오카다오스프레이EVILSANADA파레랜스KENTA
타나하시/OOOXXOXXO
이부시X/XXOXXXXO
오카다XO/XXOXXXX
오스프레이XOO/OXXOOX
EVILOXOX/XOXOO
SANADAOOXOO/OXXX
파레XOOOXX/OOX
OOOXOOX/XX
랜스OOOXXOXO/O
KENTAXXOOXOOOX/
승패4승 5패7승 2패7승 2패4승 5패4승 5패4승 5패4승 5패4승 5패3승 6패4승 5패
승점8점14점14점8점8점8점8점8점6점8점


5.2. B조[편집]


순위선수승점
1제이 화이트12
2존 목슬리10
2나이토 테츠야10
2고토 히로오키10
5이시이 토모히로8
5야노 토루8
5타이치8
5제프 콥8
5쥬스 로빈슨8
5타카기 신고8

B조쥬스이시이야노고토목슬리나이토타카기제이타이치
쥬스/OXXOXOXOO
이시이X/XOXOOOXO
야노OO/OOXXOXX
고토OXX/XXOOXO
XOXO/OOXOX
목슬리OXOOX/XXOX
나이토XXOXXO/XOO
타카기OXXXOOO/OX
제이XOOOXXXX/X
타이치XXOXOOXOO/
승패4승 5패4승 5패4승 5패5승 4패4승 5패5승 4패5승 4패4승 5패6승 3패4승 5패
승점8점8점8점10점8점10점10점8점12점8점


6. 결승전[편집]


파일:G129우승.jpg
결승전
A조 1위B조 1위
이부시 코타제이 화이트
우승자: 이부시 코타(31분 1초)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0-26 02:23:18에 나무위키 G1 클라이맥스 2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전 경기 생중계.[2] 개막전과 리그 최종전을 포함한 일부 대회 생중계.[3] 일부 대회 생중계[4] 만약 현재 챔피언이 우승을 할 경우 도전자를 역지명 할 수 있으며, 레슬킹덤까지의 기간 사이에 권리증 방어전 경기도 가져야 한다. 만약 권리증 방어전 경기에서 상대방 선수에게 패배할 경우 권리증은 상대방 선수에게로 넘어간다.[5] G1 클라이맥스의 경우 공식전은 30분의 시간 제한이 주어진다.[6] 기본적으로 최다 승점을 거둔 선수가 1등을 하게되나, 승점 동률의 상황이 발생하게 될 경우 승자승 원칙까지 적용 되어 1등을 가린다.[7] 다만 계약은 프리 에이전트 신분으로 맺었다[A] A B C D E 데이브 멜처는 해당 경기에 5성을 매겼다.[C] 데이브 멜처는 해당 경기에 5.75성을 매겼다.[B] A B 데이브 멜처는 해당 경기에 5.5성을 매겼다.[8] 승점 동점인 오카다와의 맞대결에서 승리해 승자승 원칙에 따라 이부시 코타가 진출